[경희 미한의원] 복시, 사시증상의 원인, 치료 및 교정 / 양안복시, 내사시, 외사시, 안검하수

복시, 사시 증상의 원인 질환 중 가장 많은 뇌신경 마비의 치료, 교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희미한의원에 내원한 환자의 치료 전후 사진과 동영상을 먼저 소개합니다. 복시, 사시 치료 사진

60세 여성, 우안 3번 뇌신경마비(동안신경마비, 2차발병) 우안내전/우전장애, 외사시, 안검하수, 13주 치료기간(한약 복용)

왼쪽 상단을 볼 때

정면을 볼 때

25세 남성, 좌안 6번 뇌신경마비(외전신경마비) 좌안외전장애, 내사시, 12주 치료기간(한약복용)

왼쪽을 볼 때

왼쪽을 볼 때

양안 복시, 사시

양안 복시와 사시

물체가 둘로 보이거나 겹쳐 보이는 복시 증상은 양안 복시와 단안 복시의 구분이 있으며, 대부분 양안 복시에 해당합니다. 양안복시에서는 한쪽 눈을 가리면 하나로 보이고 자세히 관찰하면 눈이 어긋나는 사시 현상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단안 복시는 한쪽 눈을 가려도 두 개로 보이고, 겉으로 봤을 때 사시는 없습니다.

양안 복시원인질환 신경마비성 뇌신경마비(미러피셔증후군, 길랑바레증후군 포함) 뇌종양, 뇌출혈, 뇌혈관기형.. 비마비성 중증근무력증(안검하수) 갑상선안병증(안구돌출)간헐적 외사시(항상성으로 악화)

양안복시를 유발하는 질환은 크게 마비성과 비마비성으로 구분되며, 어떤 질환인지를 진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증상도 조금씩 다르고 치료법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번 게시물은 뇌신경 마비에 관한 내용입니다.일단 복시, 사시를 유발하는 뇌신경 마비는 너무 가늘기 때문에 MRI 상으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반면 뇌종양, 뇌출혈, 뇌혈관기형 등은 2차적으로 뇌신경마비를 유발하고 MRI&MRA상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어 수술이나 색전술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뇌신경 마비와 복시, 사시

복시, 사시 관련 뇌신경 마비양안 복시, 사시를 유발하는 뇌신경 마비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3번 뇌신경, 4번 뇌신경, 6번 뇌신경이 있는데 이 중 6번 뇌신경 마비가 가장 흔합니다.3번 뇌신경마비(동안신경마비) 안검하수, 외사선 복시 내측, 상목 운동장애 4번 뇌신경마비(도르차신경마비) 상사시 수직복시 하목 운동장애 6번 뇌신경마비(외전신경마비) 내사시 수평복시 외측목 운동장애뇌신경별로 나타나는 복시, 사시 및 눈의 운동장애 양상은 각각 다릅니다. 가장 흔한 6번 뇌신경마비에서는 물체가 수평으로 두 개로 보여 외관상 내사시와 바깥쪽 눈의 운동장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번 뇌신경 마비에서는 안검하수, 외사시가, 4번 뇌신경 마비에서는 상사시, 수직 복시가 나타납니다.길랭바레증후군뇌신경 마비성 복시, 사시를 유발하는 질환 중에는 드물지 않고 길랑바레 증후군이나 미러 피셔 증후군도 있습니다. 이들 질환에서는 다발성 신경마비 증상이 나타나며 마비성 복시, 사시 외에도 안면마비, 언어장애, 삼킴장애, 손발마비 등이 동반됩니다. 사지 마비가 무거우면 길랑바레 증후군, 복시와 사시가 무거우면 미러 피셔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주로 장염, 감기에 걸린 후 발병하지만 최근에는 코로나 백신(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타) 접종 후 발병한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복시와 사시 양상은 예를 들면 우안 6번 뇌신경마비+좌안 6번 뇌신경마비의 형태를 띠며, 가장 심한 경우에는 양안 3번+4번+6번 뇌신경마비의 양상을 보입니다.두부 외상과 뇌신경 손상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외상성 복시, 사시 환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머리 외상으로 뇌가 흔들리고 그 충격으로 3회, 4회, 6회 뇌신경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손상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뇌출혈, 혈종, 두개골 골절, 안와골절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또는 구타상, 눈 성형수술(지방재배치수술, 필러시술) 후 눈 근육이나 관련 신경이 손상되어 내원할 수도 있습니다. 마비복시의 골든타임은 2개월”좋아지고 있어서” 또는 “기다리면 나을 거라고 해서” 마비복시는 자연히 나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100명 이상의 환자를 조사한 마비복시의 자연회복률은 50% 내외로(38~56%) 보고됩니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마비는 굳어져서 후유증으로 남습니다.경희미한의원 조재훈 원장이 SCIE급 국제의학지 JACM(20년 9월)에 발표한 마비복시, 사시환자 569명의 한약치료 임상논문을 살펴보면 초기에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완전회복률은 95%(395명/414명), 94%(84명/89명)로 높지만 발병 9주 이후에 치료를 시작하면 83%(24명/29명)로 떨어졌고, 13주가 지나 내원하면 19%(7명/37)로 급격히 하락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마비 복시, 사시 치료의 골든 타임은 2~3개월임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마비복시사시치료 골든타임은 2개월 치료사진, 동영상 확인↓ ↓경희미한의원 조재훈 원장이 SCIE급 국제의학지 JACM(20년 9월)에 발표한 마비복시, 사시환자 569명의 한약치료 임상논문을 살펴보면 초기에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완전회복률은 95%(395명/414명), 94%(84명/89명)로 높지만 발병 9주 이후에 치료를 시작하면 83%(24명/29명)로 떨어졌고, 13주가 지나 내원하면 19%(7명/37)로 급격히 하락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마비 복시, 사시 치료의 골든 타임은 2~3개월임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마비복시사시치료 골든타임은 2개월 치료사진, 동영상 확인↓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