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네스북 등재 138일 연속 방송 –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30년만에 다시 부르는 그 이름, 엄마△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사진=KOREAN DIASPORA KBS YouTube)음, 엄마, 엄마, 엄마.6세로 어머니와 헤어진 김·에쟈 씨가 30년 만에 다시 부를 수 있었다 한마디입니다.이제야 마음껏 부르자 한마디”엄마”가 KBS공개 홀을 가득 합니다.딸을 찾으러 나온 서울의 크오은스니 씨는 제주의 김·에쟈 씨에 영상에서 만났어요.권·스니 씨는 자신의 딸의 목에는 어릴 때에 종기가 나면서 생긴 자그마한 흉터가 있다고 말했어요.김·에쟈 씨는 목에 있는 상처를 보이고 주었습니다.상처를 보고김·에쟈 씨가 30년 전 헤어진 딸이라고 확신한 권·스니 씨는 겨우 편하게 행복의 눈물을 흘립니다.크오은스니 씨는 그렇게 궁금한 소리”엄마”를 딸에게서 30년 만에 듣고 자신을 용서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세계에서 가장 소중한 누구보다 아름다운 어머니에 30년이나 만나지 않으면 그 슬픔은 말로 못할 겁니다.자신의 잘못도 아닌데 딸에게 보다 좋은 어머니가 되지 않았다고 사과의 눈물을 흘리는 이산 가족 모습은 대중의 눈에 눈물을 흘렸습니다.대한민국의 이산 가족은 일제 시대와 한국 전쟁으로 약 1천만명에 이릅니다.많은 가족들은 피를 나눈 부모, 형제와 만날 수 없었습니다.그들 때문에 한반도에서는 총 21차례의 이산 가족 상봉 행사가 열렸습니다.그런 소식을 전 국민에게 공유하는 의미 있는 프로그램이 과거에 방송된 적이 있습니다.그것은 KBS 제1텔레비전에서 방송된 KBS”특별 생방송-이산 가족”을 찾고 있습니다>프로그램입니다.△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영상=KOREAN DIASPORA KBS 유튜브) KBS, 방송계의 새 역사를 쓰다KBS는 한국전쟁 33주년과 정전협정 30주년을 기념하여 특별 프로그램을 기획했습니다. 바로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이산가족을 방문하는 100,952건의 신청이 접수되어 실제로 53,536건이 방송에 소개되었고, 10,189건의 국내 및 해외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같은 상봉 성공률 19.03%는 이전 신문이나 라디오를 통해 이뤄진 이산가족 상봉 시도와 비교하면 대단한 성과였습니다.△ KBS에 위치한 20,522건의 기록물(사진=KBS 아카이브)1983년 6월 30일 밤 10시 15분에 시작된 생방송은 그해 11월 4일까지 총 138일간 계속되었습니다. 프로그램 최고 시청률이 무려 78%였어요. 한국 TV 시청자 10명 중 8명이 이산가족 상봉 순간에 함께한 것입니다.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의 생방송 비디오 녹화 원본 테이프 463개, 담당 프로듀서 업무수첩, 이산가족이 직접 작성한 신청서, 일일 방송진행표, 큐시트, 기념앨범, 사진 등 20,522건의 기록물은 모두 국내의 기념비적인 유산이 되었습니다. 한반도 평화의 촉매제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냉전체제가 지속되고 있는 지역입니다. BBB의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는 한반도의 비극적인 냉전과 전쟁의 아픔을 그대로 담고 있습니다. 피를 나눈 가족이 다시 만나 부둥켜안고 울부짖는 장면은 이산가족의 아픔을 달래주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KBS의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는 전쟁의 참상을 전 세계에 고발하고 인권과 보편적 인류애를 높인 생생한 기록이 되었습니다. 이산가족을 찾기 위해 여의도 광장과 KBS 주변의 모인 사람들은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산가족의 모습(사진=KBS아카이브)유엔 전 사무총장 하비에르 페레스데 게야르(Javier Pérez de Cuélar)는 1983년 김경원 유엔 대사와의 회담에서 이산가족의 비극에 대해 깊은 동정과 이해를 표했습니다. 또 제70차 IPU(Inter-Parliamentary Union) 서울 총회에 참석한 7개국 17명의 위원과 국제인권연맹 이사 일행이 현장을 방문했습니다. KBS 본관 중앙홀에 마련된 기자실에는 세계 25개국 기자들이 상주하며 상봉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 세계에 전하기도 했습니다.△ 984 골드 머큐리 애드호너럼 (ADHONOREM) 위 (사진=KBS 아카이브)또 콜롬비아 카르타헤나시에서 열린 제6회 세계 언론인 대회에서 이 프로그램을 “1983년도의 가장 인도적인 프로그램”에 선정되었습니다.1984년 2월 17일 아프리카 가봉에서 열린 제24회”골드·머큐리 세계 평화 협력 회의”총회에서는 방송 기관 최초로 “984골드·머큐리·주소·호너 램”(ADHONOREM)상을 수상했습니다.이 프로그램은 한국과 북한의 이산 가족 문제를 국제적 이슈로 부상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습니다.1983년 당시 대한 적십자사 총재였던 유·창순 씨는 이산 가족 문제 해결을 미루지 않는다고”남북 회담의 재개”을 촉구하는 담화문을 발표했습니다.또 전두환 대통령과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은 남북 이산 가족 상봉을 지지한다고 강조했습니다.이런 노력 덕분에 이산 가족 찾기 방송에서 2년 후의 1985년 북한 대표단이 KBS를 찾아 그 해 한국과 북한의 이산 가족의 첫번째 상봉이 이뤄질 수 있었습니다.뿐만 아니라”이산 가족 찾기”방송에서 7년 후의 1990년에는 한국 전쟁의 당사자로 공산권의 대부였던 소련과의 국교 정상화도 실현했습니다.역사의 중심을 지키는 이지연 아나운서”이산가족이 이렇게 많은 줄 몰랐어요”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 이지연 아나운서사실 이 프로그램의 첫 번째 기획은 일회성 방송에 불과했습니다. 처음에 1시간 반짜리 프로그램이 4시간으로 늘었고, 그 후 특별편성 4일, 결국 138일간의 긴 방송이 이어졌습니다.방송 진행을 맡은 이지연 아나운서는 같은 남쪽에서 이렇게 많은 이산가족이 떨어져 살고 있는지 몰랐다고 말했습니다. 30년 동안 서로의 소식을 몰랐던 이들은 혹시나 하는 저마다의 희망을 품고 KBS 본관에 모였습니다.△1983년 KBS 본관에 모인 이산가족들(사진=KBS 아카이브)천만 이산가족의 발걸음이 KBS 본관을 뒤덮었습니다. 밤새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해 담요나 신문지를 트럭에 싣고 오는 사람이 있었고, 어묵을 무료로 나눠주며 이산가족의 희망을 응원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대학생들은 글자를 모르는 이산가족을 위해 편지를 대신 썼고, 적십자 부녀봉사회는 이산가족을 찾는 사람들에게 물을 제공해 서울시는 만남의 장소를 만들었습니다. 온 국민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노력의 한 방울을 보탰습니다.△ KBS의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 이지연 아나운서 (사진=KOREAN DIASPORA KBS 유튜브)아나운서 이지연 씨는 하루 평균 16시간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물, 식사는 물론 화장실에 가는 것도 힘들었다고 합니다. 혹시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이산가족 상봉이 실패할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힘든 와중에도 그녀는 항상 출연자들을 상냥하게 대했고, 동시에 차분한 진행을 계속했어요. 그녀를 중심으로 138일간 진행된 방송 덕분에 여러 이산가족이 30년간 떨어져 살았던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사진=KBS 아카이브)현재진행형, 이산가족의 아픔최근 KBS에서 방영된<이산 가족을 찾고 있습니다>프로그램이 자사의 유튜브를 통해서 2030세대의 청년들은 물론 10대 청소년들에게까지 전달되고 있습니다.실제로 젊은 세대가 평화와 통일처럼 손에 잡히지 않은 문제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전쟁의 아픔은 그들의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유튜브의 코멘트를 보자 전쟁의 아픔과 이산 가족의 슬픔에 공감을 느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한편 KBS의 “이산 가족”을 찾고 있습니다>을 보고 편하게 슬퍼하지 못한 사람도 있었습니다.여전히 가족의 생사를 몰랐다 여러 남북 이산 가족입니다.이산 가족 찾기 방송의 영향으로 남북 관계가 호전되고 1985년에는 분단 이후 첫 남북 이산 가족 상봉이 이루어졌지만 2018년 제21차 상봉을 마지막으로 그 기회조차 사라졌습니다.그리고 2020년 8월 기준으로 이산 가족 상봉 신청자 가운데 현재 생존자는 불과 5만 여명밖에 안 남았어요.특히 미국 국적의 한국인은 그동안 한반도에서 열린 21차 이산 가족 상봉에 한번도 참석하지 못했어요.이렇게 이산 가족은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인 문제입니다.한국 정부가 남북 이산 가족 화상 상봉장 7곳을 추가 증설하는 작업을 이달 중에 완료했지만 그것조차 북한이 통신선을 차단함으로써 관련 논의는 더 이상 지지부진하다는 것입니다.그러나 통일부의 차·독쵸루 부대변인은 올해 8월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가장 긴급한 인도주의 사안인 이산 가족 문제의 조기 해결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이라며 이산 가족 상봉을 위하고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대답했습니다.한반도의 평화의 문제는 이산 가족 상봉이 아직 완결이 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착실히 논의돼야 할 사안입니다.약 70년간 서로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채 오로지 그 날만 기다리는 이산 가족 때문에 우리는 평화와 통일 문제를 잊지 않고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참고 자료]헤럴드 경제”아침 마당”이·지영 아나운서”나도 이산 가족···50년 만에 친형에 재회”헤럴드 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625000304(검색 일:2021년 8월 27일), 소파동,”[남북 이산 가족],”이산 가족 찾기”아나운서도 형을 찾았다···MC이·지영 씨”한국 경제,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15&aid=0000256804,(검색 일:2021년 8월 27일)윤·고은,”32년 만에 재현된 KBS이산 가족 찾기 생방송”연합 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50625194300033?input=1195m,(검색 일:2021년 8월 27일)KBS, KBS이산 가족 찾기/ 생방송 이산 가족을 찾고 있습니다. http://family.kbsarchive.com/find_my_families/,(검색 일:2021년 8월 27일)YTN,”생전에 만날 수 있도록”···북미 이산 가족 70년의 대기 시간”, YTN,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46&key=202108220255083054,(검색 일:2021년 08월 27일)홍·선화,”이·지영 아나운서·김·영옥,늙었어도 잊지 못할 『 이산 가족을 찾습니다 』 다시 조명(역사 저널 그날)”비즈 엔터, http://enter.etoday.co.kr/view/news_view.php?varAtcId=198823,(검색 일:2021년 08월 27일)송·영창,”통일부, 12억을 걸고 『 화상 이산 가족 상봉장 』 7곳 추가 증설”한국 경제/정치,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8207407i,(검색 일:2021년 8월 27일)최근에 KBS에서 방영된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프로그램이 자사 유튜브를 통해 2030세대 청년들은 물론 10대 청소년들에게까지 전달되고 있습니다. 사실 젊은 세대가 평화와 통일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전쟁의 아픔은 그들의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유튜브 댓글을 보면 전쟁의 아픔과 이산가족의 슬픔에 공감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 BBB의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보고 마음 편히 슬퍼하지 못한 사람도 있었습니다. 여전히 가족의 생사를 몰랐던 많은 남북 이산가족입니다. 이산가족 찾기 방송의 영향으로 남북 관계가 호전되어 1985년에는 분단 이후 첫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지만, 2018년 제21차 상봉을 끝으로 그 기회마저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그리고 2020년 8월 기준으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현재 생존자는 불과 5만여 명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특히 미국 국적의 한국인은 그동안 한반도에서 열린 21차례의 남북 이산가족 상봉에 한 번도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이산가족은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인 문제입니다. 정부가 남북 이산가족 화상 상봉장 7곳을 추가로 증설하는 작업을 이달 중 완료했지만, 이마저도 북한이 통신선을 차단하면서 관련 논의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통일부 차덕철 부대변인은 올해 8월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가장 시급한 인도적 문제인 이산가족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해 왔다”며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한반도 평화의 문제는 이산가족 상봉이 미완결된 현 시점에서 꾸준히 논의되어야 할 사안입니다. 70여 년간 서로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채 오로지 그날만을 기다리는 이산가족을 위해 우리는 평화와 통일의 문제를 잊지 않고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자료] 헤럴드경제, ‘아침마당’ 이지연 아나운서 ‘나도 이산가족…50년 만에 친오빠 상봉’,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625000304 (검색일 : 2021.8.27.) 서화동, [남북이산가족], ‘이산가족 찾기’ 아나운서도 오빠를 찾았다…MC 이지연 씨’, 한국경제,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15&aid=0000256804, (검색일 : 2021.8.27.) 윤고은, ’32년 만에 재현된 KBS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150625194300033?input=1195m, (검색일 : 2021.8.27) KBS 이산가족 찾기 / 생방송 이산가족 찾기 , http://family.kbsarchive.com/find_my_families/, (검색일 : 2021년 8월 27,나이가 들어도 잊을 수 없는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재조명(역사저널 그 날) “, 비즈엔터, http://enter.etoday.co.kr/view/news_view.php?varAtcId=198823, (검색일 : 2021.08.27.) 송영창, “통일부, 12억을 들여 『이미지 이산가족 상봉장』7개소 추가 증설” 한국경제/정치,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8207407i, (검색일 : 2021.8.27.)

error: Content is protected !!